韓-핀란드, 고준위 방폐물 정책협력에 맞손 |
- 세계최초 고준위방폐장을 보유한 핀란드와 기술협력·정책공조 강화 -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는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과 관련하여 10.28(금) 핀란드 고용경제부와 국장급 양자협력 회의를 개최하였다.
ㅇ 한국이 지난 7월 수립한‘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R&D 기술 로드맵’에 대한 자문,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주민 수용성 제고, 향후 양국 간 정책 협력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고, 기술협력 관계를 심화시켜 나가기로 하였다.
< 韓 산업통상자원부 - 핀란드 고용경제부 양자협력 회의 개요> | ||
◇ 일시/방식 : ‘22.10.28(금) 14:00~15:30 / 화상 ◇ 참석자 : 韓 산업통상자원부 박동일 원전산업정책국장, 핀란드 고용경제부 리쿠 후투넨 에너지 국장, 한국원자력환경공단, 주한핀란드대사관 등 ◇ 의제 : ① 韓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R&D 기술 로드맵에 대한 자문 ② 핀란드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 사업경험 공유 ③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 주민수용성 제고 방안 ④ 향후 양국 협력 방안 |
□ 핀란드는 지하 450미터 깊이에 건설한 세계 최초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을 2025년 본격 운영할 예정이다.
ㅇ 1983년 처분장 부지선정에 착수해 2001년 부지를 확정하고, 2016년 건설에 착수하여 현재 마무리 단계에 있으며,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운반·저장, 부지평가, 처분 등 관련 제반 기술도 세계 최고로 평가받고 있다.
ㅇ 핀란드 방사성 폐기물 전담기관인 포시바(POSIVA)는 그간 축적된 기술·경험을 바탕으로, 금년 7월20일 초안을 발표한 한국의‘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R&D 기술 로드맵’에 세부적인 자문*을 제공해왔으며,
* ① 기술로드맵 상 요소기술과 수용성·경제성 분석의 연계 필요성 제기
② 처분용기 열화, 처분시설 폐쇄방식 등 필요기술 개념 및 내용에 대한 수정·추가 제안
ㅇ 금번 회의에서는 핵심적인 처분 기술개발과 관련하여 기술교류, 공동 R&D 등 협력방안을 논의하였다.
ㅇ 핀란드 측은 우리나라의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R&D 기술 로드맵’이 안전한 처분과 국민 신뢰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평가하고, 모든 단계(부지선정, 운반, 저장, 처분)의 기술개발에서 양국 간 지속적인 협력의지를 전달하였다.
□ 양국은 또한 주민 수용성 제고와 관련한 핀란드의 경험을 공유하면서, 과학적 절차와 투명한 정보공개, 주민수용성을 담보한 처분장을 마련할 수 있도록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하였다.
□ 박동일 산업부 원전산업정책국장은 “글로벌 에너지 공급망 위기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전 세계적으로 원전의 활용도를 높이는 흐름이 뚜렷하며, 정부도 에너지 안보 강화와 탄소중립 달성의 수단으로 원전을 타 전원과 조화롭게 활용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하며,
ㅇ “원전의 적극 활용과 함께, 국민 안전을 위해서는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확보가 반드시 전제되어야 하는 바, 동 분야 선도국인 핀란드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과학적 안전성과 주민 수용성이 확보된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