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보도자료] 제3차 원전수출전략 추진위원회 개최

by 해피튜브 2022. 11. 23.
728x90
반응형
3차 #원전수출전략 추진위원회 개최
- 폴란드 원전수출, 관 협력으로 빈틈없는 후속조치 추진 -
- 이집트 엘다바 프로젝트에 이은 제2의 원전 기자재 수출 추진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 이하 산업부) 11.23() 서울 호텔 나루에서 원전수출전략 추진위원회(이하 위원회) 3차 회의 개최하였다.

 

 지난 8월 출범한 위원회 원전 및 관련 산업의 해외진출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산업부장관을 위원장으로 관계부처, 금융기관, 공기업, 민간전문가 등 약 30개 원전 유관기관이 참여하는 원전수출 컨트롤타워이다.

 

< 3차 원전수출전략 추진위원회 개요 >

 (일시/장소) ’22.11.23() 15:00~16:30 / 호텔 나루 서울 엠갤러리 볼룸1


 (참석자) 산업부장관(위원장), 기재부, 외교부, 국토부, 과기부, 중기부, 방사청, 원안위, 한전, 한수원, 한전KPS, 한전연료,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무역보험공사, KOTRA,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무역협회,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 여성원자력전문인협회, 산업계학계 및 법률전문가 등 위원회 위원


 (논의안건)  폴란드 원전협력 후속조치,  원전 기자재 수출 프로젝트,  체코폴란드 원전수출 통합 지원방안 

 

 

 이창양 산업부장관 모두 발언을 통해 지난 10 31 폴란드 원전건설 협력의향서(LOI)  양해각서(MOU) 체결 09 UAE 바라카 원전 수주 이후 13년 만에 원전 노형 수출의 전기를 마련하였다고 말하며,

 

ㅇ 이번 성과가 최종 수주로 이어지고, 더 나아가 원전 10기 수출 목표 달성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민관이 힘을 모아야 할 때라고 강조하였다.

 이 장관은 먼저, 폴란드 원전협력 관련하여, 민관이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후속조치 빈틈없이 추진해야 한다고 언급하였다.

 

 한수원에는 각 분야 최고의 기업들과 함께, 부지, 용수 등 발주국 건에 최적화된 원전 개발계획 연내 수립해 줄 것 주문하였으며,

 

ㅇ 관계부처에는 폴란드가 우리 원전을 신속히 도입할 수 있도록 현지 안전규제 정비, 전문인력 양성 등 정부 간 협력 강화하는 한편,

 

ㅇ 최근 금융시장 경색 우려 등 불안요인에 대응하여 정책-민간금융간 협력체계 구축 등을 통한 안정적 금융 조달방안 마련 당부하였다.

 

 원전수출의 또 다른 한 축인 원전 기자재 수출 관련해서는 이집트 엘다바에 이어 2, 3의 수출 성사를 위해 민관 총력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최근 신흥 원전국들은 12차측 분리발주, 노후 원전 개보수, 원자력 안전설비 설치 등 원전 기자재 투자 확대하고 있다고 설명하며,

 

 기자재 수출은 그 자체로도 중요하지만, 발주국과의 신뢰 관계를 구축하여 신규원전 협력으로 연결될 수 있는 만큼,

 

 각국의 발주동향, 경쟁여건, 사업구조 등을 종합점검하여 수주 가능성 높이고, 노형수출 연계방안  창의적인 수주전략 마련을 주문하였다.

 

 이번 3차 회의에서는 폴란드 원전협력 후속조치, 원전 기자재 수출 프로젝트, 체코폴란드 원전수출 통합 지원방안 등  3개 안건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나누었다.

 

 먼저, 폴란드 원전건설 협력 내용 공유하며, APR1400을 기반으로 한 원전 개발계획 수립 일정 향후 조치계획 중심으로 의견을 교환하였다.

 

- 특히, 산업부 원전사업 금융 조달, 원전 관련 인허가 제도 정비 지원 등에 대해서 소관 부처에서 중심이 되어 신속히 검토할 것을 요청하였다.

 

 루마니아 등 원전 신흥국을 중심으로 열리고 있는 주요 원전 기자재 프로젝트 점검하며 사업환경 분석하고 수출전략 논의하였다.

- 한수원은 이집트 엘다바 프로젝트에 대해 연내에 기자재 20개 품목 발주하고 파견인력 확정할 계획이며, 내년 1월 건설사무소 설치  속도감 있게 사업 추진키로 했다.

 

 산업부는 최근 폴란드와의 LOI 체결 등 변화된 원전수출 여건 고려하여 체코·폴란드 원전수출 지원방안을 보완확충할 예정이다.

 

- 그간 추진해온 체코·폴란드와의 방산, 산업·에너지, 인프라 등 협력 프로젝트를 구체화하고,

 

- 최종 사업자 선정까지 1년여 앞으로 다가온 체코와의 협력 확대에 초점을 맞춰 신규 협력사업 발굴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정부는 원전수출전략 추진위원회를 중심으로 이집트, 폴란드 원전협력 후속조치를 빈틈없이 추진하고, 체코 등 추가 원전수출 성과를 창출하여 원전 10기 수출 목표 달성에 최선 다할 계획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