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보도자료][ - 「제1차 수출지원기관협의회」 개최 - - 全부처 수출지원기관 역량강화 및 기관 간 협업·연계 확대 -

by 해피튜브 2022. 12. 4.
728x90
반응형
17개 수출지원기관 수출활력 제고를 위해 힘 합친다
- 1차 수출지원기관협의회 개최 -


- 부처 수출지원기관 역량강화 및 기관 간 협업·연계 확대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 이하 산업부) 12.2() 서울 무역보험공사에서 산업부 문동민 무역투자실장 주재로 1차 수출지원기관협의회(이하 협의회) 개최하였다.


< 1차 수출지원기관협의회 개요 >




 일시/장소 : ‘22.12.2() 14:00 / 서울 무역보험공사


 참석자 : (정부) 산업부 무역투자실장
(수출지원기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이하 코트라), 한국무역보험공사(이하 무보), 한국무역협회, 한국플랜트산업협회, 한국수출입은행,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기술보증기금, 해외건설협회,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한국지식재산보호원, 국방기술진흥연구소, 방산물자교역지원센터 등 17개 기관



 논의내용 :  수출지원기관 협의회 운영 방안,  수출지원기관 지원역량 강화 방안 등

 

 

 이 날 협의회에서는 지난 11 23() 대통령 주재 1차 수출전략회의에서 발표한 주요 수출지역별 특화전략 및 수출지원 강화 방안 면밀한 이행을 위해

 

 수출지원기관협의회 운영 방안, 수출지원기관 지원역량 강화 및 협업·연계 확대 방안 등을 논의하였다.

수출지원기관협의회 운영 방안

 

 

 우선, 협의회의 구성, 운영 방식, 주요 기능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협의회에는 기능별·분야별  부처 주요 18개 수출지원기관이 참여하며, 수출지원기관 역량강화를 위한 협의·조정, 기관별 수출지원 사업 공유·점검, 기관 간 협업 과제 발굴·추진 등을 다룬다.

 

 또한 분야별 기관 간 심도 있는 논의를 위해 협의회 산하에 수출마케팅 지원협의회’, ‘수출금융지원협의회’, ‘해외인증지원협의회를 운영할 계획이다.

 

 


수출지원기관 협의회








수출마케팅
지원협의회

수출금융
지원협의회

해외인증
지원협의회

 

 

 

수출마케팅지원협의회 : 분야별 특화 수출마케팅 협업 사업 개발 논의


수출금융지원협의회 : 수출수주 확대를 위한 금융 협업 지원 방안 논의


해외인증지원협의회 : 해외인증 종합지원 체계 구축을 위한 세부사항 논의

 

 

 

수출지원기관 지원역량 강화 및 협업·연계 확대 방안

 

 

 코트라·무역보험공사 등 주력 수출지원기관 중심으로 분야별·기능별 지원기관의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하기로 하였다.

 

 (인력교육) 수출지원기관 재직자의 지원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수출지원기관 전용 교육 과정 신설(연간 총 3, 상반기2·하반기1)

 

* ’23 1회차 일정() : (단계별 커리큘럼) ‘22.12, (수강생 모집) ’23.1월 중순, (교육) 2~

** 수출 프로세스 단계별 실무 및 지원정책 활용 방안 교육

 

 (정보·조직 연계) 기관 간 주요 정보를 공유하고, 코트라 해외무역관 중심 -루프 지원체계*를 구축하여 기관 간 연계 강화

 

* 지원기관 해외사무소 설치 시 해외무역관을 우선 활용하고 기관 간 해외 협력 사업 수행

 

 (인력교류) 코트라 등 주력 수출지원기관의 수출 전문성과 분야별 지원기관의 업종 전문성을 상호 강화하기 위해 기관 간 인사교류 실시 (‘23.1분기)

 또한 해외전시회 부처합동 참가, 해외인증 종합지원체계 구축, 지역·산업별 수출 특화인력 양성 등 협업과제 추진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해외전시) ‘대한민국 브랜드위상 활용 및 해외 바이어 유치  시너지 제고를 위해 복수의 기관이 참가하는 해외전시회에 통합 한국관 구축 확대(‘22 19 ’23 30)

 

 (해외인증) 해외인증 종합지원 체계를 구축하여,  기관 지원사업을 연계하고 정보제공부터 컨설팅, 사업 신청까지 원스톱 지원

 

* 협의회 산하 해외인증 지원협의회 중심, 인증전문기관 참여하는 추진체계 운영(‘22.12~)

 

 (인력양성) 수출 주력·전략시장의 유망품목을 선정*하여 해당 지역·품목 전문성을 동시에 갖춘 수출 전문인력 양성(연간 총 4, 100)

 

* (예시) (1Q) 중동 플랜트, (2Q) 북미 자동차부품, (3Q) 중국 소비재, (4Q) 유럽 ICT

** (코트라) 장소·콘텐츠 제공 등, (수출지원기관) 강사 초빙, 커리큘럼 자문, 현장 실무 제공 등

*** ’23 1회차 일정() : (커리큘럼 마련) ‘22.12~, (수강생 모집) ’23.2월 중순, (교육) 3~

 

 (무역금융) 수출지원기관 단체보험 협업 강화, 특별출연을 통한 협약보증 추진을 통해 무역금융 지원 확대(‘22.12~)

 

 1차 수출지원기관 협의회를 주재한 산업통상자원부 문동민 무역투자실장은

 

 최근의 엄중한 수출 위기상황 속에서 수출 활력을 촉진하고 신성장 수출동력을 발굴하기 위해서는 산업부 뿐만 아니라 문화, 환경, 보건 등 전 분야의 부처와 지원기관이 함께 뛰어야 할 때라며

 

 특히 실제 현장에서 우리 기업들을 지원하는 수출지원기관의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앞으로 수출지원기관협의회를 중심으로 지원기관의 역량을 강화하는 한편, 기관 간 논의를 통해 협업 과제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추진할 계획임을 밝혔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