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총괄분과위 실무안 공개

by 해피튜브 2022. 8. 31.
728x90
반응형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총괄분과위 실무안 공개

- 원전과 재생에너지를 균형있게 활용하여 2030 NDC 목표 달성

→ 30년 발전량 비중 : 원전 32.8%, 신재생 21.5%, 석탄 21.2% 

 

 

 

 

 

 전기본 자문기구인 총괄분과위원회*(위원장 유승훈)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실무안 8.30() 14시 언론브리핑을 통해 공개하였다.

 

 

 

* 전력수요 예측 등을 위한 수요소위, 전력설비 계획 수립 등을 위한 설비소위와 이하 워킹그룹, 제주도 전력수급 계획 수립을 위한 제주수급 소위로 구성되어 있고 각 분야 전문가 및 이해관계자들 총 113명이 참여(‘21.12월 이후,  33회 회의 개최)

 

 

 

** 전기사업법 제25조에 따라 전력수급의 안정을 위해 전력수요를 예측하고 이에 따른 전력설비와 전원구성을 설계하는 중장기(15) 계획 (이하 전기본이라 함)

 

 

 






 언론브리핑 개요 
















 (일시) '22.8.30.() 14:00 /  (장소) 코엑스 307




 (주최) 총괄분과위원회 /  (주관) 전력거래소




 (참석) 총괄분과위 위원장 및 각 워킹그룹장, 언론사, 행사관계자 등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다음의 작업을 수행한다.

 

 

 

 15(‘22~'36)간의 연도별 최대전력(전력피크)을 기준수요로 전망하고, 수요관리 목표를 차감하여 목표수요를 산정

 

 

 

 목표수요에 기준 설비예비율(22%)을 반영하여 목표설비 산출

 

 

 

 목표설비에서 발전설비 현황조사 등을 통해 조사된 확정설비 차감하여 신규 필요설비 물량 도출 및 연도별 설비계획 수립

 

 




기준수요

전망


목표수요

산정


목표설비

산출


신규 필요설비 도출


설비계획

수립

↑

↑

↑























수요관리

기준 설비예비율 반영



목표설비에서 확정설비를 차감


 

 

 

 온실가스 배출량을 전망한다.

 

 

 

 전력계통, 전력시장 제도 개선 등도 포함한다.

 

 

 

 실무안 내용 및 수치는 확정되지 않았으며, 향후 경제성장률 전망 등 최신 입력전제 반영, 전략환경영향평가, 관계부처 협의, 기타 의견수렴 절차 등을 통해 변경 가능

 

 




수요전망



‘36년 최대전력 수요(목표수요) 117.3GW로 전망

 

 

 모형 전망과 데이터센터 및 전기화 영향을 반영하여, '36년 최대전력수요는 117.3GW로 도출되었다. ('22∼'36년 연평균 1.4% 증가)

 

 

 

< 목표수요 기준 전력소비량과 최대전력 전망 >

 

 




‘23

‘30

‘34

‘36

10

전력소비량(TWh)

544.9

565.6

579.8

589.1

사업용

최대전력(GW)

98.2

109.0

114.4

117.3

전력시장

최대전력(GW)

92.5

103.4

109.1

112.1















9

전력소비량(TWh)

525.1

542.3

554.8

-

전력시장

최대전력(GW)

94.2

100.4

102.5

-

 

 

 

 

 

 

 

 우선, 10차 전기본은 태양광발전의 증가*에 따른 변동성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수요전망 체계를 총수요 전망체계로 전환하였다.

 

 

 

* 태양광 설비(GW, '18&rarr;‘21) : (시장)2.6&rarr;5.8, (PPA)4.6&rarr;13, (BTM)1.6&rarr;3.9(추정치)

 

 


9

10






< 전망체계 변경이유 >

 전력시장 태양광발전 증가

 자가용 태양광발전(BTM)은 수치 전망은 하지만, 사업용이 아니므로 설비계획에는 미반영

전력시장 

전력시장 

PPA PV

PPA PV

자가용 PV

자가용 PV

 

 

ㅇ 지난 전기본이 전력시장에서 시현되는 수요만을 전망하였다면,

 

 

 

 총수요 전망체계는 전력시장 수요에 한전PPA, 자가용(BTM) 태양광을 포함 총수요를 전망한 뒤, 자가용 발전량을 차감한 사업용 전력수요를 기준수요로 한 점에서 9차와 차이가 있다.

 

 

 

* 한전PPA와 자가용 태양광발전은 전력시장 거래없이 한전과 직거래 또는 자체 소비되어 전력시장에서 전력수요를 상쇄하는 것으로 나타남

 

 

 

< 목표수요 도출식 >

 

 


목표수요

=

기준수요

(모형전망+4차산업혁명+전기화)

-

수요관리량

 

 

 

* 9차 전기본의 수요관리 목표비율(12.6%) 적용, 최종 전망시 수요관리 목표 수정

 

 모형을 통한 수요전망은 지난 7~9차 계획과 동일한 전력패널 및 거시모형을 활용하고, 경제성장률 전망, 산업구조 변화, 인구 전망, 기온 데이터 등을 반영하여 전망치를 도출하였다.

 

 

 

* (경제성장률) KDI·기재부, (산업구조) 산업연구원, (인구) 통계청, (기온) 기상청 전망 반영

 

 

 

 지난 8, 9차에서 반영을 유보한 4차 산업혁명 영향은 논의 결과, 데이터센터가 4차 산업혁명의 핵심동인으로서 증가추세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검토되어 이를 중심으로 반영하고,

 

 

 

 또한, 탄소중립 달성 등을 위해 산업, 수송, 건물 등 각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는 전기화 수요도 모형(GCAM-KAIST)을 통해 추정한 결과를 반영하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일부 반영하였다.

 

 

 


발전설비계획



‘36년까지 목표설비(실효용량) 143.1GW 확보 필요

 

 

< 발전설비계획 수립 >





신규 필요설비

=

목표수요

&times;

기준 설비예비율

-

확정설비





┗──── 목표 설비 ────┛




 

 

 

 

 

 ‘36년 기준 목표설비 용량 '36년 목표수요인 117.3GW 기준 설비예비율* 22%를 반영한 143.1GW로 산출되었다.

 

 

 

* 목표수요 대응을 위해 정비, 고장, 수요변동, 건설지연 등을 감안하여 추가 필요한 설비 비

 

 

 

 ‘36년 기준 확정설비 용량은 설비 현황조사를 통해 운영중, 건설중, 폐지 예정 설비 등을 계산한 결과, 142.0GW(실효용량)로 전망되었다.

 

 

 

 (원전) 사업자의 의향을 반영하여 '36년까지 12(10.5GW) 계속운전* 준공 예정 원전 6(6, 8.4GW)**를 반영하였다.

 

 

 

* 계속운전 시행 가동정지 기간 차등적으로 반영(최대 40개월, 최소 6개월)

 

** ('22&sim;'25) 신한울#12(2.8GW), 신고리#56(2.8GW), ('32&sim;'33) 신한울#34(2.8GW)

 

 

 

 (석탄) 석탄발전 감축기조를 유지하여, ‘36년까지 가동 후 30년이 도래하는 26(13.7GW) 폐지를 반영하였다.

 

 

 

 (LNG) 폐지되는 석탄발전 26(13.7GW) LNG전환과 신규 5(4.3GW) 예정 설비를 반영하였다.

 

 

 

 (신재생) 사업자 계획조사에 기반하여 발전허가, 계획입지 등 실현 가능한 물량 수준으로 반영하였다.

 

 

 

 '36년까지 신규 설비는 1.1GW(목표설비-확정설비)가 필요할 전망이다.





전원별 설비 비중



원전·LNG·신재생 확대, 석탄발전 감축

 

 

 피크기여도*를 감안한 목표설비(143.1GW)를 확보하였을 때, 전원별 설비 비중 원전·LNG·신재생은 증가, 석탄은 감소 추세를 보인다.

 

 

 

* 전력 피크수요 시간대에 설계상 설비용량 대비 실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용량의 비율

 

 

 

< 연도별 전원구성(실효용량 기준, 피크기여도 반영) 전망 (단위 : GW) >

 

 


연도

구분

원자력

석탄

LNG

신재생

양수

기타


2022

용량

24.7

37.7

41.2

5.4

4.7

1.1

114.8

비중

21.5%

32.8%

35.9%

4.7%

4.1%

1.0%

100%

2030

용량

28.9

31.7

57.8

10.3

5.2

0.5

134.4

비중

21.5%

23.6%

43.0%

7.7%

3.9%

0.3%

100%

2036

(하계)

용량

31.7

27.1

63.5

13.8

6.5

0.5

143.1

비중

22.1%

18.9%

44.4%

9.7%

4.5%

0.4%

100%

2036

용량

31.7

27.1

63.5

14.3

6.5

0.5

143.6

비중

22.0%

18.9%

44.2%

10.0%

4.5%

0.4%

100%

 

 

 

 

 

* 기타는 유류, 폐기물, 부생가스 설비 등, ** ‘36년 최대전력은 하계에 발생

*** 신규설비 1.1GW의 발전원은 미정이나, 관례적으로 설비계획상 LNG로 잠정 반영

 

 

 

 실효용량 목표설비 143.1GW를 확보하기 위해 발전현장에 실제 설치되는 설비용량(정격용량)  237.4GW이다.

 

 

 

ㅇ 특히, 피크기여도가 낮은 신재생 설비는 ‘22 28.9GW에서 '30 71.5GW, ‘36 107.4GW(총 설비의 45.3%)로 큰 폭의 확대가 필요하며,

 

 

 

 재생에너지의 확대 수용을 위한 저장장치 등 유연성 백업설비 및 계통안정화 설비의 신규 확충이 필요하다.

 

 

 

< 전원별 설비용량 전망(정격용량, 연말기준)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