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10월 24일 특징 종목

해피튜브 2022. 10. 24. 17:55
728x90
반응형
특징 종목(코스피)

 

특징종목 이슈요약
코오롱
(002020)
28,950원
(
+7.82%)
코오롱티슈진 대상 3,000만 달러 규모 투자 계획 및 코오롱티슈진 거래재개 기대감 부각 등에 강세
▷지난 21일 장 마감 후 코오롱티슈진의 임상재원 확보를 통한 자회사 가치 증대를 위해 코오롱티슈진에 제3자배정 유상증자 방식으로 3,000만 달러 규모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고 공시.
▷한편, 이날 한국거래소는 기업심사위원회, 코스닥시장위원회를 개최해 코오롱티슈진의 상장폐지 여부를 결정할 예정임.
진에어
(272450)
12,700원
(
+5.83%)
자본잠식 리스크 관련 통제 가능 분석 등에 상승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자본잠식 우려 관련 분명 좋은 흐름은 아니지만 자본잠식 리스크는 통제 가능하다고 언급. 이와 관련, 잠식을 해소하기 위해 필요한 자금은 600억원 정도로 추정되는데 하루만에 시총이 1,500억원이나 증발한 것은 과도한 우려라고 판단. 또한, 외화 차입금 의존도가 높은 항공업계에게 불리한환경이지만 동사는 일본여행 회복으로 4분기 흑자전환을 앞두고 있으며 최대주주 역시 유동성이 충분한 대한항공으로 바뀌었다는 점이 중요하다고 언급.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0,000원[유지]
세원이앤씨
(091090)
781원
(
+5.40%)
154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상승
▷Advanced Material Solutions와 154.0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8.52%) 규모 공급계약(플랜트기기) 체결(계약기간:2022-10-24~2024-02-19) 공시.
NI스틸
(008260)
3,875원
(
+5.30%)
3분기 실적 호조에 상승
▷22년3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888.67억원(전년동기대비 +45.63%), 영업이익 160.82억원(전년동기대비 +125.71%), 순이익 111.69억원(전년동기대비 +123.24%).
포스코케미칼
(003670)
194,500원
(
+4.01%)
3분기 사상 최대 매출 달성등에 상승
▷22년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05조원(전년동기대비 +108.59%), 영업이익 818.02억원(전년동기대비 +159.91%), 순이익 656.30억원(전년동기대비 +60.54%). 별도기준 매출액 9,520.14억원(전년동기대비 +93.48%), 영업이익 773.72억원( 전년동기대비 +150.44%), 순이익 626.36억원(전년동기대비 +71.79%)
▷이와 관련, 배터리소재 사업 확대에 사상 처음으로 연결기준 분기매출 1조원을 넘어섰으며, 영업이익도 분기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전해짐.
이수페타시스
(007660)
5,890원
(
+3.88%)
고다층 MLB 중심 Mix 개선세 지속 등에 따른 양호한 실적 전망 등에 상승
▷유안타증권은 동사에 대해 3Q22 연결기준 예상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826억원(YoY +42%, QoQ +10%), 349억원(OPM 19%, YoY +105%, QoQ +5%)을 기록하며 시장 컨센서스에 부합할 것으로 전망. 이는 고다층 MLB 중심의 Mix 개선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
▷아울러 동사가 미/중 분쟁에 따른 반사 수혜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며, 특히 고속 연산 AI Server용 N사 향 고다층 MLB 물량이 확대되며 2023년 연간 예상 매출액 200억 수준, 기존 방산용 외에 데이터센터용 고다층 MLB 대응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하는 I사향 등 북미 중심의 고객 다변화 및 Mix 개선이 향후 동사실적에 지속 긍정적일 것으로 분석.
▷또한, 동사는 10월17일 신규시설투자 공시를 통해 410억원 규모의 고다층 MLB 투자를 발표했다며,장비 조달 및 Set up 스케줄이 앞당겨지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해당 투자는 2023년 하반기부터 동사 실적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4,000원[유지]
한화시스템
(272210)
11,150원
(
+2.29%)
KAIST와 초소형 SAR 위성개발 협력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인공위성연구소(SaTRec·쎄트렉)와 초소형 합성개구레이더(SAR) 위성체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고 밝힘. 동사는 초소형 SAR 위성 탑재체 및 체계종합 기술을 바탕으로 셰트렉의 소형위성 분야 기술을 융합해 고해상도 초소형 SAT 위성 개발에 들어갈 예정이며, 세계 최고 수준급 고해상도지구관측위성 분야 독자 기술을 확보해 나간다는 계획임.
SPC삼립
(005610)
68,200원
(
-4.48%)
잇따른 사고 발생 소식에 하락
▷언론에 따르면, SPC 계열사 제빵공장 근로자가 근무 중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한 지 8일 만에 또 다른 계열사 공장에서 근로자가 부상을 당했다는 소식이 전해짐. 회사 측에 따르면 23일 오전 6시10분 경 샤니 성남공장에서 작업 중이던 한 직원이 손가락 부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했으며, 해당 직원은 사고 직후 병원으로 옮겨져 봉합수술을 완료한 것으로 전해짐.
▷허영인 SPC 회장이 그룹사 현장의 안전시스템을 강화하겠다고 직접 사과한 지 이틀 만에 또 다시 사고가 발생하면서, SPC의 약속이 형식적인 게 아니냐는 비난이 거세지고 있음.
▷한편, 앞서 경찰이 지난 20일 고용노동부 경기지청과 함께 SPL 평택 본사 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을 실시한 데 이어, 고용노동부는 SPC그룹을 대상으로 강력한 산업안전보건 기획 감독을 시행할 예정.
PI첨단소재
(178920)
32,200원
(
-5.29%)
3분기 실적 부진에 하락
▷22년3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702.65억원(전년동기대비 -12.45%), 영업이익140.88억원(전년동기대비 -26.59%), 순이익 135.68억원(전년동기대비 -13.23%).
 
특징 종목(코스닥)

 

특징종목 이슈요약
신화콘텍
(187270)
5,410원
(
+29.89%)
USB-C 타입 국가표준 제정 추진 소식에 상한가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전자제품의 커넥터 형상, 전원 공급과 데이터 전송을 USB-C타입으로 통합 호환해 산업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국가표준(KS)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힘. 해당 표준안은 지난 8월10일부터 두 달간 이어진 예고 고시에 이어지난 18일 기술심의회를 통과했으며 이후 11월 초 표준회의 등의 절차를 거쳐 빠르면 다음달 안 국가표준으로 제정될 것으로 전해짐.
▷이러한 소식 속 USB-C 포트를 생산하고 있는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나래나노텍/오디텍
삼성, 자동차 전장 분야 관련 전담팀 신설 소식 속 수혜주로 부각되며 급등
▷전일 언론에 따르면, 삼성그룹이 미래 성장사업 중 하나로 추진 중인 자동차 전장(전자장비) 분야에 박차를 가하면서 그룹 싱크탱크에도 관련 팀을 신설했다는 소식이 전해짐. 이와 관련, 삼성그룹 싱크탱크인 삼성글로벌리서치는 최근 전장사업 관련 팀을 신설하고 연구 인력을 충원하고 있으며 이 팀은 전기차를 포함한 완성차와 전장 관련 연구를 수행할 것으로 알려짐.
▷재계 관계자에 따르면, “삼성이 그동안 자동차 관련 사업 투자에 다소 소극적이었는데 올해부터 사업을 확대하는 기류가 강하다”며 “완성차 시장에 진출하지 않더라도 첨단 자동차 분야에서 지속적인 성장세를 충분히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삼성디스플레이 등을 고객사로 둔 가운데세계 최초로 전기차 AMOLED용 Polyimide 기판 성막용 Coater 양산화기술 개발에 성공한 바 있는 나래나노텍과 자동차 전장용 광센서 부품과 LED의 핵심부품인 제너다이오드를 생산하고 삼성 등에 공급하고 있는 오디텍이 시장에서 부각.
[종목]: 나래나노텍, 오디텍
코닉오토메이션
(391710)
4,460원
(
+9.18%)
14.30억원 규모 검사 자동화 시스템 구축계약 체결에 급등
▷LG화학과 14.3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5.24%) 규모 공급계약(검사 자동화 시스템 구축 Phase1) 체결(계약기간:2022-10-21~2023-07-31) 공시.
루닛
(328130)
21,800원
(
+9.00%)
UAE 아부다비 병원관리청과 '의료AI 솔루션 도입' 협약 체결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아부다비 병원관리청(SEHA)과 AI 영상분석 솔루션 도입을위한 업무협약식을 체결했다고 밝힘.
▷양측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AI 영상분석 솔루션인 루닛 인사이트 제품의 기술 검증(PoC)을 진행하기로 협의했으며, 이를 위해 동사는 흉부 엑스레이 영상분석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CXR’과 유방촬영술 영상분석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MMG’를 제공하고, SEHA는 운영 중인 의료기관에서 올해 연말까지 기술 검증을 추진할 예정.
▷서범석 대표는 "동사는 올해 3월 글로벌생명공학기업인 로슈(Roche) 중동법인과 루닛 인사이트 공급 계 약을 체결하고 중동시장에 본격 진출했다"며, "이번 SEHA와의 업무협약은 중동의료기관에 동사 제품을 공급하고, 중동 지역 공공의료 서비스를 혁신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힘.
위메이드 그룹주
스테이블코인 '위믹스달러' 발행 소식에 강세
▷위메이드는 전일 언론을 통해 스테이블코인 '위믹스달러(WEMIX$)'를 22일 발행했다고 밝힘. 생태계의 안정적인 규모를 파악하고 위믹스달러의 실제 수요에 대한 공급을 위해 1,100만 위믹스달러를 발행했으며, 이후 위믹스달러 발행량을 조절하면서가격을 안정시키는 프로토콜인 디오스 프로토콜(DIOS protocol)에 의해 운용될 예정. 위믹스달러는 위메이드의 블록체인 메인넷 '위믹스3.0' 생태계의 거래용 화폐로, 다양한 게임 토큰, NFT, 디파이(DeFi) 등 모든 거래에 사용될 예정.
▷이와 관련,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는 "위믹스달러는 안정성, 스테이블코인과 네이티브 코인의 재귀성, 규모의 확장성을 모두 갖춘 가장 혁신적인 스테이블코인"이라며, "스테이블코인위믹스달러와 네이티브 코인 위믹스를 글로벌 디지털 이코노미의 기축 통화로 만들 것"이라고 밝힘.
▷한편, 위메이드는 NFT와 DAO(탈중앙화 자율조직)를 결합한신경제 플랫폼 '나일(NILE)'을 연이어 선보일 계획임.
[종목]: 위메이드, 위메이드맥스, 위메이드플레이
프롬바이오
(377220)
7,190원
(
+7.15%)
日 연구팀, 줄기세포를 이용한 모낭 오가노이드 개발 성공 소식 속 지방유래줄기세포 동결 보존제 관련 특허 보유 사실 부각 등에 강세
▷언론에 따르면, 일본 요코하마 국립대학 산업과학기술 연구소의 후쿠다 준지 교수 연구팀이 두 가지 유형의 배아 줄기세포를 이용해 모낭 오가노이드(organoid)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는 소식이 전해짐.연구팀은 "상호 작용하는 두 배아세포인 표피와 간엽 세포의 간격을 조절하는 방법을 통해 온전한 모낭의 형태가 만들어졌다"며, "이 모낭생성 기술이 남성과 여성에 흔히 나타나는 안드로겐 탈모증(androgenic alopecia) 같은 탈모 질환의 새 치료법 개발의 길을 열어 줄 것으로기대된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지방유래줄기세포 동결 보존제 관련 특허를 등록한 바 있는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디이엔티
(079810)
9,890원
(
+7.03%)
내년부터 레이저 노칭 매출 인식 본격화 기대감 등에 강세
▷미래에셋증권은 동사에 대해 23년부터 ASP(Average Selling Price) 올린 레이저 노칭 매출 인식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 이에 23년 예상 EPS는 978원(기존대비 +30% 상향)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며, 매출액은 1,282억원(+149% YoY), 영업이익은 194억원(흑전 YoY), OPM 15.1%를 기록할것으로 전망. 특히, ASP 20~25% 상승한 GM2 테네시과 미시건 물량이 인식되며 OPM이 대폭 개선될 것으로 전망.
▷한편, 3분기 매출액은 191억원(+46% QoQ), 영업이익은 5억원(+794% QoQ), OPM 2.4%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기 수주된 LG디스플레이 향 매출 인식 비중이 높아영업이익은 기존 대비 하락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2,800원 -> 17,100원[상 향]
지오엘리먼트
(311320)
20,200원
(
+6.88%)
ALD 전방시장 확대 및 PVD 스퍼터링 타겟 국산화 수혜 기대감 등에 강세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성장 동력의 주요 Key는 ALD전방시장 확대에 따른 기존 반도체 부품무문 매출확대, 스퍼터링 타겟 국산화라고 밝힘.
▷이와 관련, 반도체 공정 미세화에 따라 ALD 공정 수요는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신규 제품인 솔리드 캐니스터는 사용량에 따라 일정한 교체주기가 필요해 안정적인 매출액 성장 기반이 될 것으로 전망. 아울러 수입 의존도 100%인 300mm용 반도체 스퍼터링 타겟을 국내 최초 국산화에 성공했다며, 현재 국산화 비중이 매우 낮고, 원자재 공급사와 긴밀한 협업이 확대되고 있는 만큼 타겟 부문의 가파른성장세가 기대된다고 밝힘.
▷아울러 올해 매출액 및 영업이익은 각각 273억원(+25.8% YoY), 76억원(+24.6%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며, 반도체 증착 공정 미세화, 국산화 모두 수혜가 가능해 중장기 성장 모멘텀을 보유하고 있다고 밝힘.
이오플로우
(294090)
16,900원
(
+5.63%)
웨어러블 인슐린 펌프 '이오패치' 인도네시아 품목허가 획득에 상승
▷지난 21일 장 마감 후 KEMENTERIAN KESEHATAN REPUBLIK INDONESIA(인도네시아 보건부)로부터 EO Patch & EO Patch-ADM 인도네시아(INDONESIA)품목허가 획득 공시. 이번 허가로 인도네시아 전역에 이오패치 제품을 판매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
▷이와 관련 김재진 동사 대표는 "인도네시아는 당뇨 인구가 많을 뿐만 아니라 아세안 1위 경제국"이라며, "인도네시아를 시작으로 다른 아세안 국가에도 사업을 확장하기 위한방안을 지속적으로 검토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힘.
오스테오닉
(226400)
2,485원
(
+5.52%)
5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에상승
▷보통주 212,314주(5.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기간:2022-10-25~2023-01-24) 공시.
파마리서치
(214450)
61,500원
(
+5.31%)
올해 호실적 전망 등에 상승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2년 매출액을 1,946억원(+26.3% YoY, 이하 YoY 생략), 영업이익을 700억원(+33.3%, OPM 36.0%)으로 추정. 이는 리쥬란 판매 호조 지속 때문이며 수 익성 좋은 리쥬란HB 침투 가속화에 따른 영업레버리지 효과가 기대된다고 언급.
▷아울러 밸류에이션은 역사적 저점에 머물러있다며 본업에서의 견고한 성장과 더불어 리엔톡스 국내 품목허가에 따른 실적 업사이드까지 감안 시 현 주가에서의 투자 매력은 충분하다고 판단.
▷투자의견 : 매수[신규], 목표주가 : 86,000원[신규]
지놈앤컴퍼니
(314130)
17,000원
(
+5.26%)
美 FDA에 자폐증 치료제 신약 패스트트랙 지정 신청 소식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는 美 식품의약국(FDA)에 자폐증 치료제 신약 SB-121에 대한 패스트 트랙 지정을 신청한 것으로 전해짐. 동사의 SB-121의 패스트 트랙 결과는 다음달 초에 나올 예정이며 동사는 해당 약물에 대한 임상 1상을 종료했고 내년에 미국 임상2상에 돌입할 것으로 전해짐. 또한, 동사는 임상 2상 이후에는 혁신의약품지정을 신청할 계획이며 혁신의약품에 지정되면 개발과 심사 절차가 일반 의약품에 비해 빨라지는 것으로 알려짐.
세토피아
(222810)
1,455원
(
+5.05%)
美 건기식 원료기업 BNF와 국내 독점계약 체결 소식에 상승
▷동사는 일부 언론을 통해 미국의 건강기능식품 원료 전문기업 'BNF USA LLC'(BNF)와 기능성 원료 독점 수입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계약을 통해 동사는 BNF가 판매하는 다양한 희귀 기능성 원료에 대한 국내 독점 판매권을 획득하게 됐음. 이와 관련 동사의 관계자는 "이번 계약을 통해건강기능식품 원료 유통사업을 진행하며 관련 분야의 네트워크와 노하우를 축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간 약 30억 가량의 추가적인 매출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며 "특히, BNF가 국내 생산이 불가능해 수급이 원활하지 못한 희귀한 원료들도 다수 보유하고 있기때문에 실적 업사이드 요소는 더욱 크다"고 설명.
에이프릴바이오
(397030)
12,150원
(
+4.29%)
기업가치 재평가 분석 등에 상승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기업가치가 재평가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지분 12.2%에 해당하는 3개월짜리 의무보호예수가 10월28일 기점으로 해제되며 수급에 따른 부정적인 주가 흐름은 진정될 것으로 전망되고 이후 SAFA 플랫폼의 활용 가치와 APB-A1 의 파이프라인 임상 성공 가능성 때문이라고 설명.
이수앱지스
(086890)
6,040원
(
+4.14%)
애브서틴·파바갈 수출 기대감 속내년 대규모 흑자전환 전망 등에 상승
▷교보증권은 동사에 대해 내년 대규모 흑자전환이 기대된다고 밝힘. 올해 시작된 애브서틴/파바갈 수출 확대가 내년에도 이어질 예정이며, 대규모 해외 수출을 앞두고 매출원가율을 절감할 수 있는 설비로교체가 종료되었다고 밝힘. 이에 20%P 매출원가율 하락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고 밝힘. 또한, 경북대와 공동개발을 통해 확보한 알츠하이머 치료제 ISU203 개발이 순항하고 있으며 비임상 준비를 마치고 2024년 기술이전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힘.
▷동사의 내년 영업이익은 143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나 최근 동사의 시가총액은 2,000억이 채 되지 않는다며 내년 확실한 실적 턴어라운드를 바탕으로 조기에 주가 반등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힘.
플래티어
(367000)
9,450원
(
+3.96%)
3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에 상승
▷3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2-10-25~2023-04-24, KB증권(KB Securities Co.,Ltd)) 공시.
메드팩토
(235980)
22,850원
(
+3.86%)
前 모더나 대표 등 임상자문위원 위촉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그렉 리콜라이 전(前) 모더나 희귀질환 부문 대표 등 4명을 임상자문위원회(CAB·Clinical Advisory board) 위원으로 위촉했다고 밝힘. 리콜라이 박사는 글로벌 임상 시험기관 아이콘의 의료 및 혁신 최고책임자(CMIO)로 재직 중이며, 이외에도 존 레테리오 클리블랜드 메디컬센터 사이드만 암 센터 부소장, 현 배 시더스 시나이 의료센터 정형외과 교수, 아이작 김 예일대 의대 비뇨기과과장이 CAB 위원으로 위촉됐음.
▷이와 관련 동사는 항암제 후보물질 '백토서팁'과 개발 중인 골질환 치료 관련 물질 개발을 위해 미국바이오 및 임상 전문가로 CAB를 구성했으며, CAB는 회사의 후속 파이프라인 개발과 임상 전략, 기술이전 파트너링 등에 대해 전문적인 지식을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
애드바이오텍
(179530)
3,485원
(
+3.72%)
축우 나노바디항체 실험서 긍정적인 효과 확인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중국 내몽고대학에서 진행한 ‘축우 나노바디항체 실험’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힘. 동사는 지난 8월부터 동물 수의학 전문 대학인 중국 내몽고 농업대학교 수의학원에서 나노바디항체 함유 제품 급여를 통한송아지의 로타바이러스 방어 효과 실험을 진행했으며 그 결과 실험군의 로타바이러스 항체가가 대조군 대비 매우 증가하며 폐사율 역시 대조군 대비 80% 이상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나노바디항체 함유 제품에 대한 실험이 유의미한결과를 도출하게 되돼 향후 제품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수요를 대비하기 위해 앞서 분양받은 남춘천산업단지에 내년 중순 예정된 나노바디항체 제품 생산 공장의 착공을 앞당기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힘.
국영지앤엠
(006050)
1,275원
(
+3.66%)
38.29억원 규모 공사수주에 상승
▷지난 21일 장 마감 후 라온건설주식회사와 38.29억원(최근 매출액대비6.96%) 규모 공급계약(대구 진천동 RAON Private 주상복합2차 신축공사 중 PL창호공사) 체결(계약기간:2022-10-21~2024-10-31) 공시.
젬백스
(082270)
12,250원
(
+3.38%)
알츠하이머 치료제 폴란드 IND 승인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GV1001가 지난 13일 스페인에서 2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으며, 20일 폴란드에서도 승인됐다고 밝힘. 최근 동사는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GV1001의 글로벌 임상시험의 확대 계획을 밝혔으며, 미국에서 허가받은 프로토콜(임상시험계획서)을 적용해 유럽 7개국에서도 동시에 임상시험을 진행하는 것으로 전해짐. 지난 6일 미국에서 첫 환자 등록과 함께 2상 임상시험이 본격 개시됐으며, 유럽은 프랑스, 이탈리아, 포르투갈, 네덜란드, 핀란드에서 임상시험 승인 절차를 진행중임.
모비스
(250060)
1,720원
(
+3.30%)
블록베이스 흡수합병 결정에 상승
▷지난 21일 장 마감 후 ㈜블록베이스를 흡수합병키로 결정(합병비율:1.0000000 대 0.0000000, 합병기일:2022-12-27) 공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