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보도자료] 산업부 1차관, 화물연대 집단 운송거부 관련철강산업 현장 방문

해피튜브 2022. 12. 4. 15:16
728x90
반응형
산업부 1차관, 화물연대 집단 운송거부 관련
철강산업 현장 방문
- 철강수급 차질 없도록 업계의 적극적 노력 요청 -
운송방해 등 불법행위 발생 시 경찰 협조요청 등 당부 -
- 철강업계 피해 최소화를 위한 정부 지원 약속 -

 

 

 산업통상자원부 장영진 1차관 12.2.() 오전 세아베스틸 군산공장 방문하여 화물연대 집단 운송거부 관련 철강산업 현장을 점검하였다.

 

ㅇ 금번 현장방문은 집단 운송거부로 인한 철강재 생산 및 출하 영향을 모니터링하여 만일의 수급차질 가능성에 대비하고 철강업계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자 진행되었다.

 

<산업부 1차관 현장방문 개요>


 일시/장소 : ‘22.12.2.() 10:10~11:00 / 세아베스틸 군산공장


 참석자 : 산업부(장영진 1차관), 세아베스틸, 세아제강, 세아씨엠, 세아L&S, 철강협회


 논의내용 :  화물연대 집단 운송거부 관련 철강산업 피해 현황 및 전망
 현장애로 및  정부 건의사항

 

 

 화물연대 집단 운송거부가 9일째 지속되는 가운데 철강재의 경우 육로·해상을 포함한 기존 출하량의 절반가량만 출하 중이며*, 일부 기업의 경우 부원료 반입 등에도 애로를 겪고 있는 상황이다.

 

* 5대 철강사(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세아제강, KG스틸) 누적 출하차질 금액 약 8,700억원 추정 (철강업계 약 1 1,000억원 추정, 12.1일 기준)

 

ㅇ 업계는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공장 내 적재공간 부족으로 생산차질이 발생할 우려도 있는 만큼, 피해가 심화되기 전에 사태가 해결될 수 있도록 정부가 노력해줄 것을 건의하였다.

 

 장영진 1차관은철강은 자동차·조선 등의 핵심소재로서 현 사태가 철강 수급차질로 이어지지 않도록 업계가 각별히 노력하고 특히 운송방해 등 불법행위 발생 시 경찰 등에 즉시 협조 요청할 것을 당부하는 한편,

 

 정부도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대응해 나갈 것임을 강조했다.

 

 또한주요 협회들을 중심으로 중소 화주의 손해발생에 대한 소송대행 등을 검토하는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안다 철강협회를 중심으로 업계도 법과 원칙에 따른 대응에 동참해줄 것을 요청하였다.

 

ㅇ 더불어9월 태풍피해, 세계경제 둔화에 따른 철강수요 감소 등 연이어 어려운 상황을 맞이한 철강업계의 고충을 잘 알고 있는바, 업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산업통상자원부는 시멘트의 경우 11.29.() 업무개시명령 발동 이후 12.1.() 기준 하루 출하량 약 8.24만톤으로, 평시(동절기 약 18만톤) 대비 약 46%까지 상승하는 등 출하량이 회복되는 추세에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