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12월 7일 특징 종목
해피튜브
2022. 12. 7. 18:25
728x90
반응형
특징 종목(코스피)
특징종목 | 이슈요약 |
#한컴라이프케어 (372910) 6,160원 (+12.00%) |
방위사업청과 111.35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급등 |
▷전일 장 마감 후 방위사업청과 111.35억원(최근 매출액대비 9.19%) 규모 공급계약(K5방독면 6차 양산 외 64항목) 체결(계약기간:2022-12-06~2023-11-09) 공시. | |
#삼진제약/#바이오톡스텍
|
아리바이오 치매치료제 최대 5조원 규모 가치 보유 소식 속 관련주로 부각되며 강세 |
▷일부 언론에 따르면, 글로벌 제약사들이 알츠하이머 치료제 개발 경쟁을 펼치고 있는 가운데, 아리바이오가 대규모 기술수출에 도전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짐. 아리바이오 측에 따르면, 임상 2상을 마친 뒤 올해 초 글로벌 CRO는 'AR1001' 가치를 1조5,000억원으로 책정했지만, 1년이채 지나지 않은 최근 'AR1001' 가치는 최대 5조원 수준으로 올라간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아리바이오 관계자는 “최근 유럽 기술평가 전문회사인 스위스 아반스(AVANCE)를 통해 기술가치를 평가했고 기술가치 평가는 제품 가치, 시장성, 성장성 등 글로벌 가치평가모델인 NPV를 통해 이뤄졌다”며,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AR1001의 기술가치는 30억 달러(약 3조8,736억원)~40억 달러(약 5조1,648억원)로 확인됐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아리바이오 투자사인 동시에 기술협력파트너사인 삼진제약 및 아리바이오와 공동으로 치매 복합치료제 개발에착수한 바 있는 바이오톡스텍이 시장에서 부각. [종목]: 삼진제약, 바이오톡스텍 |
|
#디아이 (003160) 5,340원 (+5.74%) |
보통주 3,196,785주 소각 결정에 상승 |
▷보통주 3,196,785주 소각 결정(소각예정일:2022-12-14) 공시. 소각예정금액은 91.51억원 규모임. | |
#TYM (002900) 2,510원 (+3.93%) |
올해 역대 최대 실적 달성 전망 등에 상승 |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미국향 트랙터 수출 확대에 따라 올해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 특히, 주력 제품인 중소형 트랙터가 코로나19 이후 가성비를 앞세워 북미 시장에서 주목을 받으며 국내산 트랙터의 수출 성장 추세를 지속했으며, 북미 수출 물량 증가에 따른 규모의 경제 효과 및 핵심 부품 내재화로 이익 개선 폭이 확대됐다고 분석. 이에 2022년 매출액 1조1,745억원(yoy +39.6%),영업이익1,252억원(yoy +255.2%, OPM 10.7%)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한편, 자율주행 기능과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텔레매틱스 시스템이 탑재된 트랙터를 상용화 할 예정이며, 향후 플랫폼서비스로 사업 확장 가능성을 감안한다면 밸류에이션 재평가가 필요하다고 분석. |
|
#롯데케미칼 (011170) 189,500원 (+2.43%) |
에어리퀴드코리아와 수소사업 합작법인 설립 완료 소식 등에 소폭 상승 |
▷동사는 전일 언론을 통해 에어리퀴드코리아와 국내 모빌리티 수소 공급망 확대를 위한 합작사 설립을 완료했다고 밝힘. 동사와 에어리퀴드코리아의 합작사명은 에너지와 하이드로젠(수소)을 합성한 ‘롯데에어리퀴드 에너하이’이며, 동사는 오는 2030년까지 총6조원을 투자해 매출 5조원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운 바 있음. ▷'롯데에어리퀴드 에너하이'는 동사 대산공장 부지에 대규모 고압 수소출하센터를 건설해 오는 2024년 하반기 사업개시할 예정으로, 해당 출하센터는 국내 최대 규모(연간 생산량 5,00톤 이상)의 수소 생산능력을 갖출 전망임. 이는 승용차 4,200대 또는 상용 버스 600대의 연료를 하루에 충전할 수 있는 규모로 알려짐. |
특징 종목(코스닥)
특징종목 | 이슈요약 |
#푸드나무 (290720) 23,350원 (+19.44%) |
주당 1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에 급등 |
▷보통주 1주당 1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기준일:2023-01-02, 상장예정:2023-01-27) 공시. | |
#드래곤플라이 (030350) 1,085원 (+18.06%) |
CJ ENM과 콘텐츠 사업 진출 협력을 위한 MOU 체결 소식에 급등 |
▷동사는 언론을 통해 CJ ENM과 함께 새로운 콘텐츠 사업 진출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협약에 따라 동사 대표 게임인 '스페셜포스' 지적재산권(IP)을 활용해 양사 간 기술·사업 전략을 공유하고 게임 사업, 웹툰, 드라마 및 영화 등의 콘텐츠 개발을 위해 공동 프로젝트를 추진할 것으로 전해짐. ▷ 이와 관련, 동사 원명수 대표는 "이번 MOU를 통해 CJ ENM과 좋은 작품을 기대하며, 이른 시일 내에 공개하겠다”며, “향후 CJ ENM뿐만 아니라 여러 기업과의 협업을 통한 시너지로 IP 사업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힘. |
|
#서플러스글로벌 (140070) 3,560원 (+17.11%) |
반도체 장비 클러스터 준공식 개최 속 공유팹 사업 본격화 기대감에 급등 |
▷동사는 전일 언론을 통해 용인시 처인구에 위치한 ‘반도체 장비 클러스터’ 준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힘. 이를 통해 동사는 세계적인 반도체 장비 회사 ASML, KLA, 온투 등과 의기투합해 ‘공유 팹’ 사업을 본격 시작할 예정이며, 공유 팹이 들어서는 반도체 클러스터 면적을 2030년까지 5배 이상 넓힐 계획임. ▷또한,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사업 다각화를 추진해 8년 뒤 현재 연매출 5배 수준인 1조원 규모 회사가 되겠다는 포부도 공개했음. ▷이와 관련 김정웅 동사 대표는 "창업 이후 16년 간 준비하고 꿈꿔온 반도체 장비 클러스터를 1차 준공하고 글로벌 반도체 장비 제조사까지 입주해 기쁘다"며,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업계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 세계적 반도체 장비 허브로 발전시킬 것"이라고 밝힘. 이어 "내년 반도체 불황에도 세계 각지 중고 반도체 장비 붐으로 회사 실적이 10% 이상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
|
#엠게임 (058630) 8,430원 (+15.64%) |
올해 사상 최대 실적 전망 등에 급등 |
▷KB증권은 동사에 대해 게임 라인업 중 현재 매출 2위를 기록하는 게임은 ‘나이트 온라인’으로 지난 11월17일 미국· 터키 지역에 ‘나이트 온라인’ 신규 서버 3개 오픈 후 이용자수가 급증하며 11월 월매출이(+271% QoQ, +158% YoY) 증가했고, 2021년 월 평균 매출의 136%를 넘어서며 신규 서버 오픈의 수혜가 나타나는 상황이라고 밝힘. ▷신규 서버 오픈 후 신규 가입자 수도 +100% QoQ, +146% YoY 급증하며 서버 입장 시대기 열에서 장시간 기다리는 상황으로 12월8일 22시(한국시간)에 1개의 서버를 추가 오픈할 예정이라고 언급. 이에 올해 4분기 호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며, 2008년(매출액 609억원, 영업이익 125억원) 이후 15년만에 사상 최대 실적이 기대된다고 밝힘. 또한, 기존 캐쉬카우인 열혈강호 온라인의 중국 흥행 돌풍도 현재진행형이며, 모바일 신규게임 ‘루아’와 귀혼 IP 기반 게임인 ‘소울 세이버’ 프로젝트도 주목해야한다고 설명. |
|
#티움바이오 (321550) 11,700원 (+10.90%) |
JP모건 헬스케어서 다국적 제약사들과 미팅 예정 소식 등에 급등 |
▷동사는 언론을 통해 2023년1월9일부터 12일(현지시간)까지 진행되는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 공식초청을 받아 참가할 예정이라고 밝힘. 올해 행사에서 면역항암제 파이프라인 'TU2218', 자궁내막증 치료제 파이프라인 'TU2670' 등 주요 파이프라인을 소개할 계획이라고 언급.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올해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를 통해 다국적 제약사들과 기술이전 및공동연구개발 등 파트너십에 대한 논의를 적극적으로 수행할 계획"이라며, "이미 다국적 제약사들과 1대 1 미팅이 예정돼 있다"고 밝힘. |
|
#다올인베스트먼트 (298870) 3,350원 (+8.94%) |
최대주주 다올투자증권 동사 매각 추진 소식에 강세 |
▷전일 언론에 따르면, 동사의 최대주주인 다올투자증권이 동사 매각을 위해 삼일PwC를 주관사로 선정하고 인수 후보자들을 상대로 인수 의사를 살피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다올투자증권은 보유하고 있는 동사 지분 52%에 대해 2,000억원 이상 수준에서 매각을 희망하고 있으며, 매각 사유와 관련해서는 중장기적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함인 것으로 알려짐. | |
#녹십자웰빙 (234690) 7,490원 (+7.93%) |
태반주사제 '라이넥' 중국 수출 추진 소식에 강세 |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태반주사제 '라이넥'의 중국 수출을 위한 물밑작업을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짐. '라이넥' 기술 이전을 받은 일본 태반전문 제약사 JBP와 중국공급에 대한 합의도 마친 것으로 전해지고 있음. 한편, '라이넥'은 산부인과에서 수거한 태반전체를 기반으로 만드는 주사제로, 필요한 영양소 균형을 맞추는 데 도움을 줘 간 기능을 개선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라이넥'의 중국 진출을 검토 중인 것은 맞으나, 구체적으로 확정된 것은 없다고 밝힘. |
|
#오비고 (352910) 9,380원 (+7.08%) |
내년 실적 턴어라운드 기대감 등에 강세 |
▷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내년 실적 턴어라운드가 기대된다며, 내년 매출액 178억원(전년대비 +57.0%), 영업이익 22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는 차량용 반도체 수급 정상화 기조 및 신규 고객사향 로열티 매출 확대 때문이라고밝힘. ▷아울러, LG유플러스와 사업제휴에 따른 시너지도 기대된다고 밝힘. LG유플러스는 지난 9월 동사에 72.3억원(지분율 5%) 규모의지분 투자를 진행했으며, 이는 커넥티드카 서비스와 차량용 웹 플랫폼 사업제휴 목적이라고 밝힘. |
|
#휴맥스 (115160) 4,115원 (+4.05%) |
자회사 휴맥스모빌리티, 1,600억원 규모 투자 유치 소식에 상승 |
▷일부 언론에 따르면, 국내 주차장 운영 및 차량공유 1위 업체 휴맥스모빌리티가 1,60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한 것으로 전해짐. 이는 금리 인상으로 투자 시장이 얼어붙은 상황에서 미래가치를 인정받은 결과로 평가되고 있으며, 향후 모빌리티사업의 추가 도약을 위한 발판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와 관련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휴맥스모빌리티는 사모펀드(PEF) 운용사 에스티리더스프라이빗에쿼티(PE)로부터 약 1,400억원을 투자받을 것으로 알려졌으며, 추가로 투자하는 기존 투자자(200억원)까지 합치면 전체 금액은 1,6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짐. 주요 투자자에는 농협과 네이버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투자금은 주차장운영, 차량공유 서비스 및 신사업(전기차) 확대에 투입될 것으로 알려졌음. ▷이에 휴맥스모빌리티의 최대주주인 동사가 금일 시장에서 부각. |
|
#핑거 (163730) 11,950 원 (+2.58%) |
'넥스트 NFT 컨퍼런스' 세션발표 주제 공개 소식 속 소폭 상승 |
▷동사는 이날 언론을 통해 오는 13일에 진행되는 'The Next NFT 2023 컨퍼런스'의 세션 발표 세부 주제를 공개했다고 밝힘.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각 분야의 전문가가 ‘NFT와 메타버스’, ‘특허권 조각투자’ 그리고 ‘NFT와 증권형 토큰(STO)의 법률이슈 및 규제대응 방향’ 등을 주제로 발표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짐. ▷특히, 동사는 특허권 조각투자 관련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지원하는 시범사업 ‘블록체인 기반 특허 NFT 거래 플랫폼 구축 사업’을 통해 개발한 지식재산권 NFT 플랫폼을 소개할 예정이며, 동사의 블록체인·크립토 분야 관계회사 마이크레딧체인(MCC)의남윤호 대표는 ‘독도버스 생태계를 움직이는 도민권 NFT’를 주제로 발표에 나설 것으로 전해짐. |
|
#아난티 (025980) 6,400원 (+1.91%) |
운영 부문 안정화 분석 및 내년 호실적 전망 등에 소폭 상승 |
▷DS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운영사업의 이익 체력이 높아지고 있다고 분석. 이는 운영에 대한 노하우가 생기고 국내여행 수요 증가로 객실 가동률 상승, 각종 비용절감 노력등 때문이라고 설명. 특히 2023년에는 빌라쥬드와 제주도 사업장도 온기로 반영되고 2024년도부터는 운영부문에서만 연간 영업이익이 약 400 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 ▷아울러 2023년은 분양규모만 약 8,000억원에 달하는 빌라쥬드 실적이 반영됨에 따라 매출액은 1조원을 상회할 것으로 보이며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122% 증가한 2,805억원으로 추정. ▷투자의견 : BUY[신규], 목표주가 : 10,000원[신규] |
|
#티에스아이 (277880) 9,030원 (+1.69%) |
내년 최대 실적 기록 전망 등에 소폭 상승 |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3분기 말 수주잔고가 시가총액 대비 높고 대규모 수주 모멘텀 및 고객사 다각화 성공을 감안하면 추가 상승 여력이 존재한다며, 내년 매출액은 2,268억원(+46.5% yoy), 영업이익은 218억원(+361% yoy)으로 최대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어 작년 주요 고객사향 턴키 수주를 처음으로 받았으며, 이후 믹싱장비 수주 또한 턴키로 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밝힘. 올해 믹싱시스템 매출액은 1,311억원(+152% yoy)을 기록했으며, 턴키 수주가 늘어남에 따라 실적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 ▷또한, 글로벌 고객사 확보와 믹싱장비 기술개발은 수주와 실적개선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 유럽 배터리사에 파일럿 장비를 공급하고 있으며, 2022년 초 ACC향 양산 제품 수주를 시작할 예정이라고 설명. 아울러 올해 연간 매출액의 88%가 믹싱 장비에서 발생한 가운데, 현재 CAPA(생산능력)는 1,200억원 규모이나 12월에 가동 예정인평택공장 추가로 2,200억원까지 확보할 예정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BUY[신규], 목표주가 : 15,000원[신규] |
|
#큐리언트 (115180) 11,300원 (-4.24%) |
쿼드자산운용, 동사 지분 일부 처분 속 하락 |
▷전일 장 마감 후 전자공시를 통해 쿼드자산운용(주)이 펀드 만기 대응 사유로 동사 주식 보유비율이 기존 13.49%(1,637,727주)에서 13.02%(1,674,001주)로 36,274주(0.47%) 감소했다고 밝힘. ▷한편,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의 주권매매가 1년5개월 만에 재개되자 자산운용업계가 서둘러 자금을 회수하면서 오버행(잠재적 매도물량) 부담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는 바이오 업종에 대한 투자 심리가 얼어붙자 상당한 손해를 감수하면서라도 지분을 줄여 추가 손실을 줄이려는 의도로 풀이되고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