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보도자료] - ESG 우수기업 등 지속가능경영유공 정부포상 시상식 개최 -- 공급망 실사 대응을 위한 K-ESG 가이드라인 발표 -

해피튜브 2022. 12. 7. 19:45
728x90
반응형
공급망 실사 대응을 위한 ESG 지원 본격 추진
- ESG 우수기업 등 지속가능경영유공 정부포상 시상식 개최 -
- 공급망 실사 대응을 위한 K-ESG 가이드라인 발표 -
- 수출 중소중견기업 등 500 공급망 ESG 리스크 진단개선 지원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 12.7() 지속가능경영유공 시상식을 개최하여 ESG 우수기업 및 유공자에 대해 정부포상을 수여하고, 공급망 실사 확산에 따른 수출기업 등 지원을 위해 공급망 실사 대응을 위한 K-ESG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였다.

 


 지속가능경영유공 시상식 개요 


 일시/장소 : ‘22.12.7(), 14:0015:00 / 대한상의 국제회의장


 주최/주관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생산성본부


 포상규모 : 대통령표창 2, 국무총리표창 2, 산업부장관표창 16, 중기부장관표창 8


 참석 : 주영준 산업부 산업정책실장, 안완기 한국생산성본부 회장, 수상기업 관계자 등 80여명

 

 

 먼저, 지속가능경영유공 시상식에서는 환경(E), 사회적 책임(S), 건전한 지배구조(G)  ESG 경영을 추진한 기업 및 유공자에 대한 포상을 수여하였다.

 

 대통령표창 해외 사업장의 신재생에너지 전환, 협력사 기술개발 지원 등의 성과를 거둔 CJ제일제당과 고효율 발전설비 도입 및 일자리 창출, 중소협력사 안전관리 지원 등의 공로를 인정받은 포스코에너지가 수상하였다.

 

 국무총리표창은 폐염전 부지를 활용하여 지역주민 참여형 친환경 활력도시를 조성한 동서발전 RE100 선언, 청년대상 디지털전환 무상교육 프로그램 등을 운영한 케이티앤지가 수상하였다.

< 지속가능경영유공 수상기업 및 유공자 명단 >

훈 격 수상 기업 비고
대통령표창(2)  CJ제일제당, 포스코에너지 단체표창
(4)
국무총리표창(2)  한국동서발전, 케이티앤지
산업부장관표창
(16)
 에스케이실트론, 에이치엘만도, 효성ITX, 한샘,
대상, 롯데제과, 한국무역보험공사, 신용보증기금, 한국과학창의재단, 한국교통안전공단, 부산시설공단, 부산항만공사
단체표창
(12)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강상우 책임연구원,
풀무원 유원무 부사장, 한국소방기구제작소 정수환 대표이사, 경남테크노파크 권기현 팀장
개인표창
(4)
중기부장관표창
(8)
 아이솔라에너지, 퓨리움, 선미, 리디쉬, 터울,
119레오, 크로마흐, 피디케이전자
단체표창
(8)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생산성본부는 EU 등 주요국의 공급망 실사 법제화  글로벌 ESG 이니셔티브*(업종별 기업 연합체)를 중심으로 한 공급망 실사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공급망 실사 대응을 위한 K-ESG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였다.

 

* RBA(전자 등), Drive Sustainability(자동차), GeSI(통신), Together for Sustainability(화학) 

 

 EU는 개별 기업뿐만 아니라 협력사의 ESG 리스크를 실사하여 공시하는 공급망 실사 제도를 도입할 계획*이며, 애플, 인텔 등 전세계 주요 기업** 자발적 공급망 실사도 확산되고 있다.

 

* ’22.2, EU의회는 회원국의 공급망 관련 법안 제/개정을 요구하는 공급망실사지침 공개

** (해외) 애플, 인텔, 포드, GM  (국내) 삼성전자, LG전자, SK하이닉스, 현대자동차 등

 

ㅇ 이에 따라, 공급망 실사 대응용 K-ESG 가이드라인은 실제 대기업 및 글로벌 이니셔티브에서 활용하는 진단실사 지표를 분석하여 우리 중소중견기업이 공급망 실사에 대응 가능하도록 진단항목을 개발하였다.

 

* K-ESG 가이드라인(’21.12월 발표) : 상장 대기업 활용
공급망 K-ESG 가이드라인(’22.12월 발표) : 중소중견기업 위주의 활용

 

< 공급망 실사 대응을 위한 K-ESG 가이드라인 주요 진단항목 >

정보공시(P)
환경(E)
󰋻ESG 정보공시 방식, 정보공시 주기,
정보공시 검증 등

󰋻환경경영 추진체계, 온실가스 배출량, 제품 내 유해물질 관리 등



사회(S)
지배구조(G)
󰋻정규직 비율, 인권정책 수립, 근무시간 준수, 안전보건 인허가 취득 등
󰋻비윤리 행위 예방 조치, 공익제보자 보호, 정보공개 투명성 등

 

 산업통상자원부는 2023년에는 공급망실사 대응 K-ESG 가이드라인을 활용하여 수출 중소중견기업 등 500에 대해 공급망 ESG 리스크를 진단개선하는 컨설팅도 지원할 계획이다.

 

 K-ESG 자가진단시스템을 활용하여 서면진단을 실시하고 ESG 전문가로 구성된 민간자문단이 현장실사를 진행하여 기업의 ESG 리스크를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다.

 

 주영준 산업정책실장글로벌 공급망에서 ESG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은 점차 커지고 있다고 언급하며,

 

ㅇ 우리 수출 중소중견기업, 대기업의 협력사 등이 공급망 실사로 인해 납품이 중단되는 등의 경영 애로가 발생하지 않도록 컨설팅 지원을 조속히 착수하고, 자동차, 반도체 등 업종별 대응 가이드라인 내년부터 마련하겠다고 밝혔다.